국제뉴스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금 보유 확대와 인플레이션 대응 전략에 '금 매수하고 달러 매도'
☞Goldseek-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금 보유 확대와 인플레이션 대응 전략에 '금 매수하고 달러 매도'
○ 카자흐스탄 중앙은행(NBK)은 자국의 금 생산에서 구매한 금을 보유하면서 발생한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달러를 매도할 계획이라고 발표하고,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대부분 자국 내에서 생산된 금을 구매하여 자국의 금 보유량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제 금 시장에 의존하지 않고 금을 확보하고 있다고 발표
2023년 카자흐스탄은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큰 금 생산국이었으며,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자국의 금 생산자들로부터 금을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카자흐스탄의 공식 외환 보유액을 458억 달러로 늘렸으며, 그 중 약 절반은 금으로 보유하고 있지만, 그러나 이러한 금 구매 프로그램은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부작용을 가져왔다고 설명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금을 구매하기 위해 생성된 텡게(카자흐스탄 통화)의 양에 상응하는 달러를 매각할 계획이며, 달러 매각을 통해 카자흐스탄 경제에서 양적 긴축(quantitative tightening) 작용을 할 것이며, 0과도한 유동성을 축소시키는 효과를 낳을 것으로 분석
NBK의 타무르 수레이메노프 총재는 이번 조치가 "통화 개입"이 아니라 "금 구매와 관련된 반대 매매"라는 점을 강조하며, 수레이메노프 총재는 금 매입을 위한 카자흐스탄 화폐 단위 텡게 발행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하고, 5%의 인플레이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금 매입을 위해 달러를 매각하는 방식으로 통화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외환 시장에서 텡게의 공급 과잉을 해소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경제 내 금리와 환율의 불안정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며, 카자흐스탄 경제는 최근 몇 년간 가격 인플레이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8.6%로 예측 범위인 8~9% 사이에 도달
카자흐스탄은 달러를 대체하려는 의도를 명시적으로 표명하지 않았지만, 이번 조치로 금 보유액을 늘리는 데 달러를 사용하기보다는 자국 통화를 관리하려는 의도를 분명히 드러냈으며, 카자흐스탄의 이러한 결정은 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금을 보유하는 것이 달러보다 우선된다는 메시지를 전달
금 매입 프로그램을 통해 카자흐스탄의 금 보유량은 급격히 증가했지만, 그 과정에서 금 매입을 위해 발행된 텡게가 국내 경제에 과잉 유동성을 유발하고 있으며, 이 과잉 유동성을 해소하기 위해 중앙은행은 달러를 매각하여 텡게의 공급을 제한하려는 것이며, 텡게 공급의 과잉은 결국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
카자흐스탄의 결정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탈달러화(de-dollarization)'의 흐름과도 관련이 있으며, 탈달러화는 세계 여러 국가들이 미국 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대신 금과 같은 다른 자산에 의존하려는 움직임을 의미하며,최근 몇 년간 중국, 인도, 러시아 등 여러 국가들이 미국 달러의 사용을 줄이고 금 보유량을 늘려가고 있으며, 이는 국제 경제에서 달러의 지배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해석
특히 BRICS 국가들이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며, 브릭스(BRICS)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구성된 경제 블록으로, 이들 국가들은 미국의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금과 같은 대체 자산을 늘리고 있으며, 카자흐스탄은 BRICS 회원국은 아니지만,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동참하는 모습
현재 달러는 여전히 세계 경제에서 주요 통화로 자리잡고 있지만, 카자흐스탄과 같은 나라들의 금 보유량 증가와 달러 매각은 달러 지배력의 약화 징후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국제 금융시장에서 달러의 지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궁극적으로 달러 가치의 하락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며, 미국은 전 세계적으로 달러를 사용하는 나라들 덕분에 높은 부채를 감당할 수 있었으나, 달러의 지배력이 약화되면 미국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전망
결론적으로, 카자흐스탄의 금 구매 프로그램은 단순히 자국의 경제를 안정시키려는 조치일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서 금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례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카자흐스탄이 탈달러화와 금 기반의 자산 축적을 추진하는 가운데, 국제 금 시장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다른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
※출저 : https://goldseek.com/article/kazakh-central-bank-selling-dollars-facilitate-gold-purchases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
번호 | 제목 | 날짜 | 작성자 | 조회 |
---|---|---|---|---|
3192 |
美 2025년 2월 예산 적자 1조 달러 돌파 '재정 ...
![]() |
2025.03.13 | 한국금거래소 | 685 |
3191 |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금 보유 확대와 인플레이션 대응 ...
![]() |
2025.03.13 | 한국금거래소 | 704 |
3190 |
러시아 중앙은행 외환 보유액에서 금은 3분의 1을 초과...
![]() |
2025.03.13 | 한국금거래소 | 675 |
3189 |
美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 속, 금 수요 증가할...
![]() |
2025.03.12 | 한국금거래소 | 699 |
3188 | 호주는 역사적인 금 수출을 기록하며 미국과의 첫 무역 ... | 2025.03.12 | 한국금거래소 | 2 |
3187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 美 달러 가치 하락은 금값 상... | 2025.03.12 | 한국금거래소 | 2 |
3186 | 관세와 일자리 감축이 경기 침체 공포를 부추기며 미국 ... | 2025.03.11 | 한국금거래소 | 16 |
3185 | 美 경제적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위기감 '고조'에 안전 ... | 2025.03.11 | 한국금거래소 | 15 |
3184 | 금은 매우 긍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 차익... | 2025.03.11 | 한국금거래소 | 15 |
3183 |
미국 관세 위협에도 중국은 성장 목표를 5%로 설정하고...
![]() |
2025.03.06 | 한국금거래소 | 116 |
3182 |
WPIC는 플래티늄 공급 감소와 자동차 산업 수요 증가...
![]() |
2025.03.06 | 한국금거래소 | 120 |
3181 |
UBS, 은값 38$/T.oz 상승 전망과 금값 3,2...
![]() |
2025.03.06 | 한국금거래소 | 131 |
3180 |
美의 정책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압력 등으로 경기 침체...
![]() |
2025.03.05 | 한국금거래소 | 118 |
3179 | 글로벌 무역 관세전쟁으로 인해 금 가격이 3,000 이... | 2025.03.05 | 한국금거래소 | 4 |
3178 | 2025년 1월,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이 지속적으로 증... | 2025.03.05 | 한국금거래소 | 4 |